마이크로소프트 워드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지만, 수식 편집이 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수식을 편집할 때는 마우스와 키보드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해야만 원하는 결과가 만들어졌었는데, 수식을 조금만 쓰는 사람들한테는 문제가 없었지만, 수식을 많이 집어넣어야 하는 경우는 좀 불편한 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7버전 이후의 수식편집기는 기존보다 글꼴도 많이 개선되었고, 명령어를 잘 입력하면 키보드만으로도 수식을 잘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것을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수식 입력을 하려면 수식편집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워드 화면에서 삽입 탭에 다음과 같이 수식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없는 경우는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설치법은 생략합니다.



다음으로, 워드의 초기 설정으로는 수식 입력까지 가는 길이 복잡하므로 수식입력 단축키를 다음 그림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하나 만듭니다.





그러고 [Alt]키를 누르고 있으면 다음 그림과 같이 새 수식편집 아이콘 아래에 숫자가 나옵니다. 그림에는 숫자 [4]가 겹쳐보이네요. 그러면 수식삽입의 단축키는 [Alt]키와 [4]키를 같이 누르는 것이 됩니다.





이제, 수식 편집을 위한 준비는 다 됐습니다.


워드 문서에 삽입하는 수식은 TeX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텍스트와 수식이 같이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주변 텍스트에 맞게 수식이 작아지고,





단독으로 있을 때는 아래 그림처럼 커집니다.




아래아한글은 항상 같은 형태의 수식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수식변화를 좀 당황스럽게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워드는 수식 입력을 해가는 과정에서 그 형태가 실시간으로 바뀌므로 사용법을 글로 표현하기는 어렵습니다. 원래는 움짤로 설명해드리려 했지만, 멀쩡하던 그림이 티스토리에서는 깨지는군요. (업로드 중 자동으로 그림파일을 변경하는군요. 티스토리에서 다른 곳으로 이사를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각 수학기호마다 짧은 동영상을 첨부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동영상의 오른쪽 아래에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문자들은 수식 입력을 할 때 어느 키를 눌렀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화면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키조합을 볼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left( \frac a b \right) $$




$$x_i \times y^j \div z_k^l $$





위 동영상에서 처음 문자는 기울여쓰기가 되어있지 않은데, 이게 의도한 것이 아니라면 문자를 입력하기 전에 [Ctrl] 누른 상태에서 [i]를 입력하시거나, 문제되는 문자에 블럭을 씌우고 [Ctrl]누른 상태에서 [i]를 누르시면 됩니다.


워드에서는 큰 수식을 하나로 봐야 하는 경우에는 그 식의 양쪽을 소괄호로 싸서 표현합니다. 다음 동영상은 이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x=\frac {-b \pm \sqrt{b^2 -4ac}} {2a}$$





$$f(x)=\begin{cases} x&(x>0)\\-x&(x<0)\\0&(x=0) \end{cases}$$





중간중간 문자가 막 바뀌는게 좀 난해하죠? 다음은 행렬입니다.


$$A=\left( \begin{matrix} a&b&c \\ d&e&f \\ g&h&i \end{matrix} \right) $$





여기까지가 많이 쓰면서도 좀 복잡한 것들이 되겠습니다. 다른 것들은 문서를 참조해도 될 정도라고 봅니다. (사실은 간단할 것으로 보이던 작업이 생각보다 복잡해져서 이쯤에서 멈춥니다.... ㅠㅠㅠ) 이것을 벗어난 내용은 아래 링크되어 있는 곳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www.iun.edu/~mathiho/useful/Equation%20Editor%20Shortcut%20Commands.pdf


**** 동영상을 만들 때 사용한 것은 워드 2016인데, 내부적으로 명령어가 조금 바뀐 것 같네요. 차이점이 있는 것은 다음 기회에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여기서 설명한 수식입력법은 '유니코드모드'에서 실행된 것입니다. 워드는 LaTeX명령어를 일부 가져다 쓸 수 있는데, 이것은 'LaTeX 모드'로 전환해야 가능합니다. 'LaTeX mode'에 대한 설명은 다음 글에 있습니다.


http://pkjung.tistory.com/83



+ Recent posts